티스토리 뷰
목차
김장은 한국의 대표적인 겨울 행사로, 가족과 함께 나누는 전통의 즐거움이 담겨 있습니다. 특히 정성스럽게 담근 김치는 추운 겨울철 식탁에 활기를 불어넣어 주며, 오랜 시간 동안 신선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. 절임배추를 활용하면, 직접 배추를 절이는 수고를 덜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현대 가정에서도 손쉽게 김장을 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절임배추 20kg을 기준으로 김장을 준비하는 법, 김치 속 재료와 양념의 비율, 보관 방법까지 상세히 소개합니다.
절임배추 20kg으로 김장 준비하기
절임배추 20kg은 약 6~7포기의 배추로, 보통 4인 가족 기준 한 달 반 정도를 넉넉하게 먹을 수 있는 양입니다. 절임배추를 사용하면 배추 절이는 번거로움이 줄어들어 편리하고, 맛도 고르게 배어 김장을 더 쉽고 맛있게 즐길 수 있습니다. 김장 준비는 재료와 양념을 제대로 갖추는 것에서 시작합니다. 이제 절임배추를 준비해 본격적인 김장에 들어가 보겠습니다.
1. 김장에 필요한 재료 준비하기 🛒
김장에 필요한 재료는 절임배추와 함께 김치 속 재료들로, 각각의 재료가 김치의 맛을 좌우하므로 신선한 재료를 고르고 적절한 비율로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절임배추 20kg에 맞춘 재료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절임배추: 20kg
- 고춧가루: 1kg (기호에 따라 매운맛 조절 가능)
- 무: 중간 크기 2개
- 대파: 3대
- 쪽파: 한 줌
- 갓: 한 줌 (선택 사항)
- 양파: 1개
- 마늘: 2컵 (약 200g)
- 생강: 1 큰술
- 새우젓: 1컵
- 멸치액젓: 1컵
- 매실청: 1/2컵 (자연스러운 단맛 추가)
- 설탕: 2 큰술
- 찹쌀풀: 찹쌀가루 2 큰술과 물 2컵으로 만든 것
각 재료는 기호에 따라 조금씩 조절할 수 있으며, 특히 고춧가루와 젓갈 종류는 김치 맛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신경 써서 준비합니다.
2. 김장 양념 만들기 🍲
김치 양념은 김치의 맛을 크게 좌우하는데, 양념을 섞기 전 찹쌀풀과 채소를 미리 준비해 두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. 찹쌀풀은 양념의 점성을 높여 재료가 배추에 잘 묻도록 돕고, 채소는 아삭한 식감과 영양을 더해줍니다.
- 찹쌀풀 끓이기
찹쌀가루 2 큰술을 물 2컵에 넣고 저어가며 중불에서 끓입니다. 걸쭉한 농도가 되면 불을 끄고 식혀둡니다. 찹쌀풀은 양념이 잘 묻도록 하고 김치의 숙성을 도와줍니다. - 채소 손질하기
무는 아삭한 식감을 살리기 위해 채 썰고, 대파와 쪽파는 4~5cm 길이로 썰어 둡니다. 갓은 김치에 매운 향을 더하므로, 적당한 길이로 손질하여 준비합니다. 양파는 믹서에 갈아 양념에 쉽게 섞이도록 합니다. - 양념 섞기
큰 볼에 고춧가루 1kg, 찹쌀풀, 갈은 양파, 다진 마늘과 생강, 새우젓, 멸치액젓, 매실청, 설탕을 넣고 잘 섞습니다. 그런 후 채소와 섞어 김치 속을 만듭니다. 양념을 하루 전 만들어 두면 숙성되면서 더욱 감칠맛이 살아납니다.
💡 TIP: 양념을 하루 전에 만들어 냉장고에서 숙성시키면 깊은 맛을 더할 수 있습니다.
3. 절임배추에 양념 버무리기 🥄
절임배추는 소금물에 절여져 물기를 가볍게 털어내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배추 한 잎 한 잎에 양념이 골고루 묻도록 신경 써서 버무려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 과정을 통해 김치의 풍미가 배추 속까지 고루 배어들어 맛있는 김치가 완성됩니다.
- 양념 바르기 요령
겉잎부터 시작해 속잎까지 양념이 고루 묻도록 바르되, 너무 많은 양념을 바르면 짤 수 있으므로 적당히 조절합니다. 양념을 바른 배추는 반으로 접어 김치통에 차곡차곡 담습니다. 포기별로 일정하게 양념을 묻히는 것이 김치 맛을 고르게 만드는 비결입니다.
4. 김치 보관하기 🧊
절임배추로 만든 김치는 발효를 위해 초기에는 실온에서 보관하다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냉장 보관으로 옮겨 아삭함을 유지합니다.
- 실온 발효: 실온에 1~2일 두어 적절히 발효시킨 후 김치 냉장고에 넣으면 김치가 더욱 깊은 맛으로 숙성됩니다.
- 김치 보관 용기 선택: 김치통은 김치 양에 맞는 크기로 선택하며,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용기의 뚜껑을 단단히 닫아 신선함을 오래 유지합니다.
김장 꿀팁과 주의사항 📝
- 염도 조절: 절임배추 자체에 염도가 있으므로, 양념에 들어가는 새우젓과 액젓 양을 잘 조절합니다.
- 알레르기 주의: 새우젓이나 멸치액젓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에는 다른 재료로 대체하거나 줄여도 무방합니다.
- 재료 가격 관리: 김장철에는 배추나 양념 재료의 가격이 오를 수 있으므로, 미리 구매해 두면 더욱 경제적입니다.
자주 묻는 질문 (Q&A)
Q1: 절임배추 20kg으로 김장을 하면 몇 포기 정도의 배추가 필요한가요?
A1: 약 6~7포기의 배추를 절이면 20kg 정도가 됩니다. 절임배추는 포기 수가 아닌 kg 단위로 판매되는 경우가 많으니 참고하세요.
Q2: 절임배추는 어디에서 구매할 수 있나요?
A2: 절임배추는 김장철에 맞춰 마트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, 농가에서도 신선하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.
Q3: 김치를 더 오래 보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?
A3: 발효가 적당히 된 후 냉장고 온도를 0도에 가깝게 설정하면 아삭한 김치를 오래 즐길 수 있습니다.
Q4: 김장 김치를 짜지 않게 만드는 방법이 있나요?
A4: 절임배추의 염도를 고려해 젓갈의 양을 조절하고, 찹쌀풀을 사용해 맛을 중화하는 것이 좋습니다.
Q5: 김장을 할 때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할 도구가 있나요?
A5: 김치통, 고무장갑, 큰 양푼이 필요합니다. 고무장갑을 착용하면 양념에 손이 닿는 것을 막아줍니다.